
React, Vue, Angular 실무 경험 비교
운 좋게 프론트엔드 3대장을 모두 써본 후기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면서 React, Vue, Angular라는 주요 프레임워크들을 모두 실무에서 다뤄볼 수 있었던 건 정말 운이 좋았던 경험이었습니다.
각각의 기술이 어떻게 다른지 직접 겪어봤기에, 이제는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어떤 프레임워크를 쓰는 게 좋을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생겼고, 기술 선택에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직접 경험한 프레임워크 비교 후기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단순한 스펙 비교보다는, 실제 사용하면서 느꼈던 점, 협업에서의 차이, 이직 준비에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공유합니다.
1. 프레임워크를 접하게 된 배경
✅ React / Next.js
React는 코딩을 막 배우기 시작했을 때, 제가 처음 접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였습니다.
이후 개인 프로젝트에서 간간히 사용하다가, Next.js가 나오고 나서는 공부하던 타이밍에 실무에 적용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 KICE 교육 데이터 포털 프로젝트에서 기술 스택을 고를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마침 Next.js를 학습하던 중이라 선택했습니다.
- 이후에도 이력서, 포트폴리오, Haru 클래스, 블로그 등 개인 프로젝트는 모두 Next 기반으로 구성하며 메인 스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Angular
Angular는 이전 회사의 시스템이 모두 Angular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시작하게 된 프레임워크입니다.
초반에는 문법도 생소하고 진입장벽이 높았지만, RxJS, DI, 모듈 구조 등을 이해하고 나서는 오히려 대규모 시스템에서 그 진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정형화된 프로젝트에 잘 어울렸고,
- 디자인 라이브러리로는 PrimeNG, Ant Design 등을 함께 사용하면서 구조적인 개발에 익숙해졌습니다.
✅ Vue.js
Vue는 React나 Angular에 비해 접근성이 쉬워서 개인 공부 용도로 먼저 접했습니다.
처음엔 Vue2로 시작해 To-do 앱 같은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며 감을 익혔고, 이후 Vue3도 공부해봤습니다.
- 그러던 중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고, 운 좋게 Vue2 환경에서 약 5개월간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 Vue는 개인 공부와 실무 양쪽에서 경험한 유일한 프레임워크이기도 합니다.
2. 실무에서 느낀 프레임워크별 특징과 장단점
🔵 Angular – 구조화와 안정성, 그러나 높은 진입장벽
- ✅ TypeScript 강제화, 정형화된 모듈 구조, DI 시스템
- ✅ 대규모 협업에서 실수를 줄여주는 강력한 설계
- ❌ 진입장벽 높음: CLI, RxJS, 라우팅 설정 등 복잡
- ❌ 공식문서 외의 자료 부족 (GPT 없던 시절엔 특히 어려움)
설정하나 하는데 하루 종일 걸렸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도 익히고 나면 정말 안정적인 구조라는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 Vue – 빠른 진입, 직관적 설계
- ✅ 공식문서가 친절하고 이해하기 쉬움
- ✅ Vite 같은 도구로 빠른 초기 세팅 가능
- ✅ 반응형 시스템이 직관적이라 개발 속도가 빠름
- ❌ 큰 단점은 없지만, 규모가 커지면 코드 스타일 통일에 신경 써야 함
개인 공부용으로도 좋고, MVP나 초기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느낌이었습니다.
⚫ React / Next.js – 유연성과 생태계의 힘
- ✅ 가장 큰 생태계와 커뮤니티, 자료가 풍부함
- ✅ Next.js로 SSR, SEO 최적화, App Router 등 최신 기능 경험 가능
- ✅ 유연한 구조로 다양한 설계 가능
- ❌ 기능이 많아지며, 예전보다 복잡도나 속도 저하 체감 있음 (개인적인 느낌)
특히 Next.js의 App Router와 SSR 구조는, 개발자이자 블로거로서 큰 만족감을 줬습니다.
3. 어떤 상황에 어떤 프레임워크가 적합했는가?
상황 | 적합한 프레임워크 | 이유 |
---|---|---|
공공기관 시스템, 사내 대시보드 | Angular | 명확한 설계, TS 기반 협업 구조 |
MVP, 빠른 프로토타입 | Vue | 빠른 구현, 쉬운 문서, 적은 진입장벽 |
SEO 필요한 콘텐츠 웹앱, 블로그 | React (Next.js) | SSR, SEO 최적화, 커뮤니티 활발 |
4. 협업 측면에서의 경험 차이
- Angular는 모든 게 정형화되어 있어, 규칙 기반 협업에 유리했습니다.
- Vue는 자유도는 높지만, 팀 간 컨벤션을 잘 잡지 않으면 코드 스타일 차이도 컸습니다.
- React/Next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해 팀의 설계 기준을 먼저 잡는 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5. 커리어와 성장에 끼친 영향
-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경험하면서, 기술 자체보다 문제 해결 방식에 더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 이직 과정에서도 특정 프레임워크에만 갇히지 않은 덕분에 적응력 있는 개발자로 어필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여러 기술을 다루다 보니 한 가지 기술에 오래 집중하지 못한 인상을 줄 때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다양한 도구를 능숙히 다루며, 필요할 때 깊이 있는 전문성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특정 기술에 집중하여 책임감 있게 임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특히 Next.js를 깊게 다루게 되면서, 블로그나 포트폴리오 같은 퍼블릭한 콘텐츠 제작 능력도 함께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6. 마무리 – 도구는 다르지만, 결국 문제 해결이 중심
운이 좋게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접할 기회가 있었고,
그 덕분에 지금은 새로운 기술을 마주하더라도 두려움보다 기대가 커지는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기술은 수단이고, 결국 중심은 문제를 해결하는 관점과 사고 방식이라는 점을 더 분명히 알게 되었습니다.
React, Vue, Angular 모두 훌륭한 도구이고, 가장 중요한 건 그걸 언제, 어떻게 쓸 것인가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제 경험과 생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